티스토리 뷰

 

 

 

산문(山門)에 기대어

 

 

[송수권]

 

누이야

가을산 그리메에 빠진 눈썹 두어 낱을

지금도 살아서 보는가

정정(淨淨)한  눈물 돌로 눌러 죽이고

그 눈물 끝을 따라가면

즈믄 밤의 강이 일어서던 것을 

그 강물 깊이깊이 가라앉은 고뇌의 말씀들

돌로 살아서 반짝여오던 것을 

더러는 물 속에서 튀는 물고기같이

살아오던 것을

그리고 산다하 한 가지 꺾어 스스럼없이 

건네니던 것을 

 

 

누이야 지금도 살아서 보는가

가을산 그리메에 빠져 떠돌던, 그 눈썹 두어 날을 기러기가

강물에 부리고 가는 것을 

내 한 잔은 마시고 한 잔은 비워두고

더러는 잎새에 살아서 튀는 물방울같이

그렇게 만나는 것을 

 

 

누이야 아는가

가을산 그리메에 빠져 떠돌던

눈썹 두어 날이

지금 이 못물 속에 비쳐옴을

 

 

 

 

 

일러스트 - 잠산

 

 

 

*  송수권 (1940년 ~) 시인

 

 

 

하마터면 이 시는 세상에서 빛을 보지 못하고 유성처럼 사라질 뻔했다. 송수권 시인이 서대문 화성여관 숙소에서

이 작품을 백지에 써서 응모를 했는데, 잡지사 기자가 "원고지를 쓸 줄도 모르는 사람의 원고"라며 휴지통에 버렸다.

당시 편집 주간이었던 이어령씨가 휴지통에 있던 것을 발견해 1975년 '문학사상' 지면에 시인의 데뷔작으로 발표했다.

이 일화로 '휴지통에서 나온 작품'이라는 '입소문'을 타 문단에서 화제가 되었고, 발표 이후에는 많은 독자들의 사랑을 

받았다. '누이를 애타게 호명하고 있지만, 이 시는 남동생의 죽음에 바치는 비가 (悲歌)였다. 

"내 한 잔은 마시고 한 잔은 비워두고" 비어 있는 맞은편을 망연히 바라보았을 그 시방(十方)의  비통함은 짐작되고도

남음이 있다. 시인은 무엇보다 죽은 동생의 환생에 대한 강한 희원을 드러낸다. 

"더러는 물 속에서 튀는 물고기같이" "더러는 잎새에 살아서 튀는 물방울같이"등의 역동적인 문장은 적극적인 환생을

바라는 시인의 마음을 엿보게 한다.

산문(山門)은 속계(俗界)와 승계(僧界)의 경계이고 , 이승과 명부 (冥府)가 갈라지는 경계인 바, 산문에 기대어 생사의 유전(流轉)을 목도하는 것은 큰 고통이 아닐 수 없다. 하지만 생사의 감옥에 갇혀 살아도 죽은 사람은 산 사람의 마음속에서 영생을 살아 이처럼 마음이 절절하게 울리는 노래를 낳았다.

송수권 시인은 전통 서정시의 맥을 이어오면서 황토와 대(竹)와 뻘의 정신에 천착해 왔다. 

그는 '곡즉전(曲即全.구부러짐으로써 온전할 수 있다)'을 으뜸으로 받든다. 

"곡선 속에 슬픔이 있고 , 추억이 있고, 들숨이 있지요. 시간이 있고 희망이 있고, 공간이 있습니다" 라고 그는 말한다.

그의 시는 "고깔 쓴 여승이 서서 염불 외는것" 같아서 사람의 마음을 '애지고 막막'하게 하지만 남도 특유의 가락과

토속어의 사용으로 슬픔과 한을 훌쩍 넘어서는 진경을 보여준다.                           - 문태준 . 시인 -

 

 

 

 

 

'현대시 100년 - 시인100명이 추천한 애송詩'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갈대 등본  (0) 2021.12.15
눈물  (0) 2021.12.13
울음이 타는 가을강 (江)  (0) 2021.12.10
참깨를 털면서  (0) 2021.12.08
마음의 수수밭  (0) 2021.12.07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4/1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