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추일서정 (秋日抒情)
[김광균]
낙엽은 폴-란드 망명정부의 지폐
포화(砲火)에 이즈러진
도룬 시의 가을 하늘을 생각케 한다
길은 한줄기 구겨진 넥타이처럼 풀어져
일광(日光)의 폭포 속으로 사라지고
조그만 담배 연기를 내어 뿜으며
새로 두 시의 급행차가 들을 달린다.
포플라나무의 근골(筋骨) 사이로
공장의 지붕은 흰 이빨을 드러내인 채
한가닥 꾸브러진 철책이 바람에 나부끼고
그 우에 세로팡지로 만든 구름이 하나.
자욱-한 풀벌레 소리 발길로 차며
호올로 황량한 생각 버릴 곳 없어
허공에 띄우는 돌팔매 하나.
기울어진 풍경의 장막 저쪽에
고독한 반원을 긋고 잠기어간다.
* 김광균 (1914년~1993년) 시인
김광균 시인은 1930년대 후반 회화적 이미지즘의 새로운 문법을 선보였다.
그는 시에 '회화(繪畵)'라는 웃옷을 입혔다. 모더니즘 시론가 김기림은 " 소리조차를 모양으로 번역하는 기이한 재주를
가진 시인 "이라고 평했다.
김광균의 시는 독자들의 눈앞에 한 장 한 장의 데생을 그려 보이는 작법을 구사했다.
이런 데에는 김광균이 미술에 관심이 많았고, 많은 화가와 직간접적으로 교우한 경향이 컸다.
김광균은 고흐의 그림을 처음 접한 충격을 이렇게 고백했다."고흐의 '수차(水車)가 있는 가교(假橋)'를 처음 보고 두 눈알이 빠지는 것 같은 감동을 느낀 것도 그 무렵이다.
그때 느낀 유럽 회화에 대한 놀라움은 지금도 생생하다. 세계미술전집을 구하며, 거기 침몰하는 듯하여 나는 급속히 회화의 바다에 표류하기 시작했다. 시집보다 화집이 책상 위에 쌓이기 시작했고, 내 정신세계의 새로운 영양(營養)은 이렇게 해서 이루어진 것 같다.
그는 섬세한 감각의 촉수로 "구름은/보랏빛 색지 (色紙)우에/ 마구 칠한 한 다발 장미"(<뎃상>)로 표현했고,
흰 눈이 내리는 모습은 "먼 - 곳에 여인의 옷 벗는 소리"(<설야>)로 표현했고 , 성교당(聖敎堂)의 종소리는 "분수처럼 흩어지는 푸른 종소리"(<외인촌>)로 빛나게 노래했다.
마치 먼지 낀 삽화를 보는 듯한 느낌을 주는 이 시에서도 그는 공허하고 고독하고 스산한 마음을 "모양으로 번역"해
인상적으로 드러낸다. 시인은 낙엽을 보면서 망명정부에서 발행하는 무가치한 지폐를 떠올리고, 폐허가 된 도룬 (토룬) 시 (市)의 공백(空白)한 하늘을 떠올린다. 구불구불한 길은 '구겨진 넥타이'로 , 잎이 다 떨어진 포플러 나목(裸木)은 초라한 '근골'로, 불투명하고 얇은 구름은 '세로팡지(셀로판지)로 표현함으로써 아주 구체적으로 대상을 조형한다.
낙엽을 망명정부의 무용한 지폐에 비유하거나, 공장의 지붕을 단단하고 날카로운 이빨에 비유하는 대목에서는 도시적 문명에 대한 시인의 비판 의식도 엿볼 수 있다.
이 시에 나타나는 황량한 심사는 모색(暮色) 그득한 그의 다른 시편에서도 자주 나타난다.
이러한 상실감과 창백한 감상(感傷)은 가족들의 죽음, 실향 등의 정신적 외상에서 비롯되었다. 해서 혹자는 김광균을
'엘레지의 시인'이라고 부르기도 했다. 1926년 12세의 나이로 '중외일보'에 처음 시를 발표하면서 천부적인 시안(詩眼)을 자랑했던 김광균 시인은 1950년대로 접어들면서부터는 한동안 시를 쓰지 않았다.
남북된 동생의 사업을 인수해 사업가로 변신했다. 그렇지만 , 그는 안개 자욱하던 한국 시단에 장명등(長明燈) 하나를 켜
놓았다. 아직도 그곳서 가늘고 고단한 불빛이 새어나오며 밤을 밝히고 있다. - 문태준. 시인 -
'현대시 100년 - 시인100명이 추천한 애송詩'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바라기의 비명 (碑銘) (0) | 2021.12.22 |
---|---|
나그네 (0) | 2021.12.21 |
철길 (0) | 2021.12.18 |
생명의 서 (書) (0) | 2021.12.17 |
갈대 등본 (0) | 2021.1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