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칼로 사과를 먹다
[황인숙]
사과 껍질의 붉은 끈이
구불구불 길어진다
사과즙이 손끝에서
손목으로 흘러내린다
향긋한 사과 내음이 기어든다.
나는 깎은 사과를
접시 위에서 조각낸 다음
무심히 칼끝으로
한 조각 찍어 올려 입에 넣는다.
"그러지 마. 칼로 음식을 먹으면
가슴 아픈 일을 당한대".
언니는 말했었다.
세상에는
칼로 무엇을 먹이는
사람 또한 있겠지. (그 또한 가슴이 아프겠지)
칼로 사과를 먹으면서
언니의 말이 떠오르고
내가 칼로 무엇을 먹인
사람들이 떠오르도
아아. 그때 나.
왜 그랬을까.....
나는 계속
칼로 사과를 찍어 먹는다.
젊다는 건,
아직 가슴 아플
많은 일이 남아 있다는 건데.
그걸 아직
두려워한다는 건데
황인숙 시인은 좀체 변하지 않는 사람이다. 사는 방식도, 취향도, 생각도, 표정도, 말투도, 심지어 헤어스타일까지도
황 시인의 절친한 후배 장석남 시인의 사석에서 이렇게 얘가한 적 있다.
10년이 지나고, 20년이 지나도, 이제 30년이 지나가는데도 정말 안 변하는 사람이 황인숙 선배라고, 그쯤이면 도(道)의
경지라고. 새들은 변하지 않는다, 늙지 않는다. 말하자면 그는 '새'과다. '하늘을 자유롭게 풀어놓은' 새처럼,
그는 명실상부한 '프리랜서'로 30여년을자유롭게 살고 있다. 글을 쓰며 (맛깔스런 그의 산문은 이미 정평이 나 있다)
세든 집에서 혼자 산다. 책과 음악과 식도락과 고양이(들)와 그의 단짝 벗들과 더불어 산다.
"마감 닥친 쪽글을 쓰느라 낑낑거리며/ 잡문 없는 세상에 살고 싶다! 부르짖는/가난하고 게으른 시인이/ 그 동네에도 살고 있을 것이다" ('파두 -비바, 알파마!')
타인에게 칼을 건넬때는 반드시 칼등을 잡고 칼날이 자신에게 향하도록 건네는 것이 예의다. 이사 갈 때 칼을 버리고 가면 그 집과의 인연을 끊고 가는 것이고 부엌에 칼을 아무렇게나 놓으면 가족이 다치거나 돈이 모이지 않는다고 한다.
칼(날)이 '칼로 음식을 먹으면 가슴 아픈 일을 당한다'는 금기도 마찬가지다. 예전에는 칼로 사과를 먹다가 언니에게 이 금기의 말을 들은 적이 있건만, 지금도 여전히 시인은 사과껍질을 깎던 칼로 사과를 찍어 먹는다.
칼로 사과를 먹으며 누군가에게 칼로 사과를 먹였던 일을 떠올린다.
이 시의 맛을 깊게 하는건 마지막 연이다. "젊다는건, 아직 가슴 아플, 많은 일이 남아 있다는 건데. 그걸 아직, 두려워한다는 건데." 오래 되짚어 보게하는 구절이다.
젊지 않은데도 여전히 가슴 아플, 많은 일이 줄지 않는걸 보면 칼로 사과를 너무 많이 먹었나 보다. 칼로 주는 사과를 너무 많이 받아 먹엄ㅆ나 보다. 칼로 먹고 칼로 먹였던 게 비단 사과뿐이었겠나 싶다. 뭔가를 준다는 게 이렇게 위태로울 때가 있다. 그것이 자기에게든 타인에게든, 그것이 사랑이든 배려든. 젊음이 아름다운 건 , 가슴 아플, 많은 일을 두려워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두려워하지 않는 젊음은 그러기에 두려운 대대상이다.
황인숙 시인은 여전히 젊고 경쾌하다. 계속 카로 사과를 콕콕 찍어먹을 수 있을 만큼! 부리로 사과를 콕콕 쪼아먹는
새처럼, 아니 그의 시처럼. - 정끝별 시인 -
* 황인숙 시인 (1958년 ~ )
이승철 - 기억때문에
'현대시 100년 - 시인100명이 추천한 애송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철나무 그늘 아래 쉴 때는 (0) | 2021.03.20 |
---|---|
수묵(水墨) 정원 9 - 번짐 (0) | 2021.03.19 |
투명한 속 (0) | 2021.03.15 |
저녁의 염전 (0) | 2021.03.13 |
목마와 숙녀 (0) | 2021.03.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