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국토서시 (國土序詩)
[조태일]
발바닥이 다 닳아 새 살이 돋도록 우리는
우리의 땅을 밟을 수밖에 없는 일이다.
숨결이 다 타올라 새 숨결이 열리도록 우리는
우리의 하늘 밑을 서성일 수밖에 없는 일이다.
야윈 팔다리일망정 한껏 휘저어
슬픔도 기쁨도 한껏 가슴으로 맞대며 우리는
우리의 가락 속을 거닐 수밖에 없는 일이다.
버려진 땅에 돋아난 풀잎 하나에서부터
조용히 발버둥치는 돌맹이 하나에까지
이름도 없이 빈 벌판 빈 하늘에 뿌려진
저 혼에까지 저 숨결에까디 닿도록
우리는 우리의 삶을 불 지필 것이다.
우리는 우리의 숨결을 보탤 일이다.
일렁이는 피와 다 닳아진 살결과
허연 뼈까지를 톻째로 보탤 일이다.
* 조태일 시인 (1941년~1999년)
육척거구,고집불통,임전무퇴,대의명분의 시인,
'쑥대머리'를 부르며'소주에 밥말아 먹던' 두주불사(斗酒不辭)의 시인, 국토와 식칼의 시인.
반골에 강골의 광주 시인. 의리와 정(情)의 시인 . 조태일 시인에게 붙여진 수식들이다.
그는 (국토) 연작시와 <식칼편> 연작시로 1970년대 우리시의 저항성에 일획을 더했다.
사람들은 하나같이 그에 대해 '몸도 크지만 마음이 더 큰 사람' 이라고 입을 모은다.
스스로도 "이 조가야, 그 거창한 체구엔/ 노동을 하는 게 썩 어울리는데/ 시를 쓴다니 허허허 우습다, 조가야"
(<석탄.국토15>)라고 노래했다. 감옥에 갇힌 후배의 가솔들을 찾아 쌀과 연탄을 사주고, 언제나 제자들 밥부터 챙기는
격의 없는 스승이었다 한다.
술에 취한 야밤에 장독대에 올라가 혀 꼬부라진 소리로 독재자는 물러거라 물러가라 물러가라 삿대질 삼창을 일삼고,
어머니가 돌아가신 뒤에도 어머니의 통장에 다섯 해나 더 용돈을 송금했다고 한다. 그의 대학 은사였던 조병화 시인은 세상을 떠나기 직전, 먼저 간 제자를 추모하며 "조태일은 시인이다 착하고 정직하고 곧고 의리의 시인이다 어린이도
느끼는 시인이다"라는 글을 남겼다.
이념적 지향성은 서로 달랐으되, 스승은 젓갈 행상을 하던 홀어머니 밑에서 공부하는 제자의 형편을 알고 장학금을 받게 해주었고 제자는 두고두고 스승에게 극진했다는 미담도 잘 알려져있다.
나라 국(國), 흙 토(土)! 국토는 우리 땅이다.
조태일 시인이 노래하듯, 우리의 하늘 밑이고 삶이고, 우리의 가락이고, 우리의 혼이고 숨경이다. 그뿐 아니다.
피와 살과 뼈에 이르는 우리의 온몸 그 자체이다. 그게 있어야 나라도 있고 국가도 있고 민족도 있다.
이 마땅하고 당연한 우리의 땅을 잃어버렸을 때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이상화), "바라건대는 우리에게 우리의
보습대일 땅이 있었더면"(김소월), "나는 갈고 심을 땅이 없음으로 추수(秋收)가 없습니다" (한용운)라고 노래했다.
70년대 조태일에게 국토는 특히 '버려진 땅에 돋아난 풀잎', '조용히 발버둥치는 돌멩이', 이름도 없이 빈 벌판 빈 하늘에
뿌려진 혼'으로 상징되는 소외된 민중의 다른 이름이다. 이 땅의 주인인 그들을 위해 '일렁이는 피' , '다 닳아진 살결' ,
'허연 뼈' 까지 보태리라는 시인의 뜨거운 의지가 돌올하다.
"발바닥이 다 닳아 새 살이 돋도록 우리는/ 우리의 땅을 밟을 수밖에 없는 일이다"라고 국토에 대한 숙명적 사랑을 노래했던 시인은, 간암으로 99년 9월7일, 58세의 나이로 "풀씨가 날아다니다 멈추는 그곳/ 그곳이 나의 고향, /
그곳에 묻"(<풀씨>)혔다. '그곳'이 바로 우리의 국토이고, 오매불망 국토를 모래했던 시인의 유택이되었다.
그는 28세에 "내가 죽는 날은 99년 9월9일 이전"(<간추린 일기>) 이라고 썼다.
미래를 예언한 그의 시참(詩讖)이 서늘하다. - 정끝별 시인 -
내 나라 내 겨레 Song of My Country and My People (임태경 Im Taekyu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