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사슴
[노천명]
모가지가 길어서 슬픈 짐승이여
언제나 점잖은 편 말이 없구나
관이 향기로운 너는
무척 높은 족속이었나 보다
물속의 제 그림자를 들여다보고
잃었던 전설을 생각해내곤
어찌할 수 없는 향수에
슬픈 모가지를 하고 먼데 산을 쳐다본다
* 노천명 시인 (1911년~1957년)
노천명 시인은 어릴 때 홍역을 앓아 사경을 헤매다 다시 소생했는데 이 때문에 이름을 '천명(天命)'으로 바꾸었다.
하늘로부터 다시 받은 목숨으로 천수(天壽)를 누리라는 뜻으로 이름을 바꾸었으나 평생 독신으로 살다 1957년에
타계했다. 노천명 시인은 고독의 차가운 차일을 친 시인이었다.
실제로도 고독벽이있었다.
시 '자화상'에서 자신의 풍모를 "몹시 차 보여서 좀체로 가까이 하기 어려워한다" 라고 썼고, "꼭다문 입은 괴로움을 내뿜기보다 흔히는 혼자 삼켜버리는 서글픈 버릇이 있다"라고 썼다.
이 시는 한 마리의 사슴을 등장시켜 자신의 모습을 투영한다.
시인은 사슴의 몸통과 다리를 배제한채, 자화상을 그리는 화가처럼 사슴의 목 윗부분을 그려낸다.
관(뿔)을 쓴 '높은 족속'으로 스스로를 도도하고도 고고하게 표현하지만, 2연에서는 물리칠 수 없는 마음의 통증을 보여준다. 마음의 통증은 어디에서 연유할까. 노천명은 많은 시편에서 어릴 때의 평온했던 시간으로 귀소하려는 욕구를 드러낸다. "절편 같은 반달이 싸리문 우에 돋고". " 삼밭 울바주엔 호박꽃이 화안한 마을"로 시인의 마음은 자주 이끌린다.
그 시간들은 화해와 무(無)갈등과 동화적인 세계이다.
그런 세계를 동경하는 화자와 현실 사이에의 괴리가 마음의 결손을 유발한다.
그 괴리의 거리와 슬픔의 크기를 시인은 가냘프고 긴 사슴의 목에 빗대어 말하고 있다.
삶은 고독과 갈등의 경전이다. 우리는 이 세상의 몸을 받을 때부터 고독의 의복을 입고 태어났다.
그러나 우리는 고독의 정면(正面)을 보고 싶어하지 않는다. 고독의 시간이라야 우리는 진정으로 우리를 만날 수 있고,
그때 참회와 기도가 생겨나게 되지만, 해서 모든 종교적인 시간은 고독의 시간이지만, 릴케의 표현처럼 "고독은 비와도
같은 것","(고독은)서로 미워하는 사람들이 같은 잠자리에서 함께 잠을 이루어야 할 때" 처럼 흔하게 찾아오는것.
너무나 마음 쓸 데가 많아서 도무지 고독할 시간조차 없다고 말하지 말자.
이 시를 애송하는 시간에라도 우리는 근원적인 고독의 시간을 살자. 나의 자화상을 솔직하게 들여다보자.
고립감이 자기애로 나아가더라도.
설혹 자기애에 빠져 나르키소스처럼 한 송이의 수선화로 피어나더라도.
남빛 치마와 흰 저고리를 즐겨 입었다는 노천명 시인은 한국시사에서 시적 대상을 시적 화자와 겹쳐
놓음으로써 현대 서정시의 동일성 시학을 선보인 최초의 여성 시인이었다. - 문태준 시인 -
사슴(노천명)
'현대시 100년 - 시인100명이 추천한 애송詩' 카테고리의 다른 글
희미한 옛 사랑의 그림자 (0) | 2021.04.19 |
---|---|
귀천 (0) | 2021.04.17 |
님의 침묵 (0) | 2021.04.14 |
타는 목마름으로 (0) | 2021.04.13 |
향수 (0) | 2021.04.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