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너와집 한 채
[김명인]
길이 있다면 , 어디 두천쯤에 나 가서
강원남도 울진군 북면의
버려진 너와집이나 얻어 들겠네, 거기서
한 마장 다시 화전에 그슬린 말재를 넘어
눈 아래 골짜기에 들었다가 길을 잃었네
저 비탈바다 온통 단풍 불 붙을 때
너와집 썩은 나무껍질에도 배어든
연기는 매워서
집이 없는 사람 거기서도 눈물 잣겠네
쪽문을 열면 더욱 쓸쓸해진 게옻 그늘과
문득 죽음과, 들풀처럼 버팅길 남은 가을과
길이 있다면 , 시간 비껴
길 찾아가는 사람들 아무도 기억 못하는
두천
그런 산길에 접어들어
함께 불 붙는 몸으로 저 골짜기 가득
구름 연기 첩첩 채워넣고서
사무친 세간의 슬픔, 저버리지 못한
세월마저 허물어버린 뒤
주저앉을 듯 겨우겨우 서 있는 저기
너와집,
토방 밖에서 황토흙빛 강아지 한 마리
키우겠네랑부뚜막에 쪼그려 수제비 뜨는 나 어린
처녀의
외간 남자다 되어
아주 잊었던 연모 머리 위의 별처럼
띄어놓고
그 물색으로 마음은 비포장도로처럼 덜컹거리겠네
강원남도 울진군 북면
매봉산 넘어 원당 지나서 두천
따라오는 등뒤의 오솔길도 아주 지우겠네
마침내 돌아서지 않겠네
흔하게도 인생은 여행에 비유된다. 우리는 흘러가면서 만난다. 사람과 붐비는 시장과 웃음과 꽃밭과 폭풍의
바다와 벼랑과 사막을 만난다. 그러므로 삶엔, 여독이 있다. 이 시를 읽으면 나는 내 여행의 종착지를 생각한다.
이 시는 우리의 마음을 적적한 곳으로 데려간다. 세상에서 가장 깊은 골짜기로 가서 살자고 한다.
종일을 살아도 찾아오는 사람이 없을, 개옻 그늘과 늦가을만이 살고 있는 곳.
세상의 쓸쓸함을 다 살아본 듯 벌써 무욕을 알고, 골짜기보다 더 깊은 눈으로 속리(俗離)한 우리를 맞아줄 여인이 살고 있는 곳. 그러나 그런곳이 있을까.
잇속이나 명리나 부귀 같은 것은 손을 털 듯 탁, 탁 털어버린곳, 더 움켜쥐려는 근욕(根欲)이 사라져 알몸의 자아를
비로서 만날 수 있는 곳. 퇴폐도 맑게 씻기어서 별처럼 빛나는곳, 삶을 탕진한 사람도 다 받아줄 것 같은 마지막
성지(聖地), 그곳서 우리의 여행이 끝난다면 후회는 없으리니.
많은 독자들은 김명인 시인의 첫 시집 '동두천(東豆川)'을 기억 할 것이다.
기지촌에서 혼혈아에게 국어를 가르치던 시기의 경험을 쓴 동두천 연작은 사회적으로 큰 반향을 불러일으켰으니,
" 그 아이는 지금 대전 어디서/ 다방 레지를 하고 있는지 몰라/(....)/ 지금도 기억할까 그때 교내 웅변대회에서 /
우리 모두를 함께 울게 하던 그 한마디 말/ 하늘 아래 나를 버린 엄마보다는/ 나는 돈 많은 나라 아메리카로 가야 된대요" ('동두천 4')라고 써 수많은 독자를 여지없이 울먹이게 한 시 !
김명인 시인은 동두천 연작 발표 후에도 지금까지 '욕된 세상'을 살아가는 사람들의 그 막막한 표랑을 강한 연민으로 감싸 안아온 시인이다.
그는 한국의 서정시가 실험과 해체와 생각의 과잉과 포즈의 유행을 탈 때에도 흔들림 없이 서정시를 지켜내는 수문신장(守門神將) 의 역활을 맡아 왔다," 한마디로 김명인의 시는 마음이 놓인다"라고 ,동감이다. - 문태준 시인 -
* 김명인 시인 . 대학교수 (1946년 ~ )
박강수 (Park Kang Soo) - 그리움의 그리움
'현대시 100년 - 시인100명이 추천한 애송詩'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춘수 '꽃' (0) | 2021.03.26 |
---|---|
상한 영혼을 위하여 (0) | 2021.03.24 |
바람의 말 (0) | 2021.03.22 |
사철나무 그늘 아래 쉴 때는 (0) | 2021.03.20 |
수묵(水墨) 정원 9 - 번짐 (0) | 2021.03.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