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울음이 타는 가을강 (江)
[박재삼]
마음도 한자리 못 앉아 있는 마음일 때,
친구의 서러운 사랑 이야기를
가을햇볕으로나 동무삼아 따라가면,
어느새 등성이에 이르러 눈물나고나,
제삿날 큰집에 모이는 불빛도 불빛이지만,
해질녘 울음이 타는 가을강 (江)을 보것네.
저것 봐, 저것 봐,
네보담도 내보담도
그 기쁜 첫사랑 산골 물소리가 사라지고
그다음 사랑끝에 생긴 울음까지 녹아나고,
이제는 미칠 일 하나로 바다에 다와 가는,
소리죽은 가을강 (江)을 처음 보것네.
* 박재삼 (1933.~1997.) 시인
박재삼은 생전에 '슬픔의 연금술사'로 불린 시인이다.
시 '눈물 속의 눈물'에서 "꽃잎 속에 새 꽃잎/겹쳐 피듯이//눈물 속에 새로 또/눈물 나던 것이네"라고 노래했듯이
그의 시들은 눈시울이 촉초근하게 젖어 있다.
박재삼 시인의 대표작 가운데 하나인 이 시는 노을이 붉게 번지는 , 굽이쳐 흐르는 강을 산등성이에서 내려다보며 썼을 것이다. '눈물'과 '울음'과 '강'과 '산골 물'과 '바다'로 연결되는 물의 이미지는 누선(淚腺)을 자극하고 , '햇볕'과'불빛'으로
연결되는 불의 이미지는 삶의 소진과 소멸을 두드러지게 하는 바, 이 시는 사랑의 비극과 고독과 생(生)의 무상(無常)을
동뜨게 드러낸다. "마음도 한자리 못 앉아 있는 마음"이라는 표현은 "뉘가 알리, 어느 가지에서는 연신 피고/ 어느 가지
에서는 또한 지고들 하는 /움직일 줄을 아는 내 마음 꽃나무" ('자연 (自然)') 라는 표현과 쏙 빼닮았다.
'눈물나고나'와 '보것네' 등의 종결어미에서는 그의 다른 시편에서도 예사인 전통적인 가락의 활용을 보여준다.
이 시가 처음 월간지에 발표된 후 박두진 시인은 "노도 (怒濤)처럼 세찬 현대의 휩쓸림 속에서 배추 꽃목처럼 목이
가늘고 애잔한, 실개천처럼 맑고도 잔잔한 서정" 이라고 평해 신예 박재삼을 주목했다.
박재삼 시의 가옥을 떠받치는 두 기둥인 '한' 과 '가락'의 능수능란한 구사는 그가 자라난 생활환경과 관련이 있다.
일본 동경에서 태어나 막노동을 하는 아버지와 생선 장사를 하는 어머니 밑에서 자랐다.
집이 가난해서 낮에는 중학교 급사로 일하면서 야간반에서 수학을 했다.
집 형편이 옹색해 베껴 쓰고 늘 외웠고, 중학 시절 김상옥 시인의 작문 지도를 받으면서 전통시의 낭창낭창한 가락에 눈떴다. 병을 얻어 직장을 그만둔 후로는 시를 쓰고 신문에 바둑 관전평을 써서 생계를 꾸렸다.
"요석자 (樂石子)'라는 이름으로 바둑 관전평을 썼는데 바둑계에서는 그를 '박국수(朴國手)'라고 불렀다.
병을 앓고 난 후, 가난한 시인은 새봄을 맞는 소회를 썼다.
"눈여겨 볼 것이로다, 촉트는 풀잎/ 가려운 흙살이 터지면서/ 약간은 아픈 기 (氣)도 있으면서/ 아, 그러면서 기쁘면서.../
모든 살아 있는 것이/형(兄)뻘로 보이는 넉넉함이로다. "(병후(病後)에 그러니 우리네 삶이 '햇볕 반(半) 그늘 반(半)'이라
하더라도 오늘 당신은 글썽임보다 반짝이는 쪽을, 촉트는 생동(生動)을 보아라 - 문태준. 시인 -
'현대시 100년 - 시인100명이 추천한 애송詩' 카테고리의 다른 글
눈물 (0) | 2021.12.13 |
---|---|
산문(山門)에 기대어 (0) | 2021.12.11 |
참깨를 털면서 (0) | 2021.12.08 |
마음의 수수밭 (0) | 2021.12.07 |
잘 익은 사과 (0) | 2021.1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