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저문 강에 삽을 씻고

 

[정희성]

 

흐르는 것이 물뿐이랴

우리가 저와 같아서

일이 끝나 저물어

강변에 나가 삽을 씻으며

거기 슬픔도 퍼다 버린다

스스로 깊어가는 강을 보며

쭈그려 앉아 담배나 피우고

나는 돌아갈 뿐이다

삽자루에 맡긴 한 생애가

이렇게 저물고, 저물어서

샛강바닥 썩은 물에

달이 뜨는구나

우리가 저와 같아서 

흐르는 물에 삽을 씻고

먹을 것 없는 사람들의 마을로

다시 어두워 돌아가야 한다

 

 

 

일러스트  권신아

 

 

* 정희성   시인 . 교사 (1945년 ~ )

 

 

 

 

정희성 시인은 해방둥이다. 시력 4권의 시집이 전부인 과작(寡作)의 시인이다. 

"말이 곧 절이라는 뜻일까/ 말씀으로 절을 짓는다는 뜻일까"(<시(詩)를 찾아서>), 그의 시를 읽노라면 언(言)과 시(寺)가 서로를 세우고 있는 시(詩)됨에 대해 생각하게 된다.

그의 시는 나직하게 절제되어 있으며 민중들의 삶이 자연스럽게 녹아 있다.

쉽게 읽히되 진정하고, 단정하되 뜨겁다. "그는 자신의 시처럼 단정하고 단아하지만 단아한 외형 속에는 강철이 들어

있다"고 했던 신경림 시인의 말처럼, 시와 시인과 시인의 삶이 버성기지 않은, 참 보기 좋은 경우다.

<저문 강에 삽을 씻고>는 "눈덮여 얼어붙은 허허강벌/ 새벽종 울리면 어둠 걷히고/ 난지도 취로사업장 강바닥엔 까마귀떼처럼/ 삽을 든 사람들 뒤덮인다" (<언 땅을 파며>)나,  "퍼내도 바닥이 흰 서러움/ 하루 벌어 하루 먹는 놈이/

팔다리만 성해서 무얼 하나/ 공사판엔 며칠째 일도 없는데/ 삽을 들고 북한산을 퍼낼까/ 누구는 소용없는 일이라지만/ 나는 북한산 바닥까지 눈을 퍼낸다"(<눈을 퍼내며>)등의 시와 함께 읽을때,  '삽자루에 맡긴 한 생애' 라는 핵심 구절에 대한 이해가 깊어진다.

 

'삽' 이라는 한 글자에는 많은 의미와 뉘앙스가 담겨 있다. 파다, 덮다, 뜨다, 퍼담다, 퍼내가 등의 술어를 수반하는 삽질은 자신의 몸을 구부리고 낮춰야 하는 일이다.

한 삽에 한 삽을 더해야 하는 묵묵하고 막막한 일이다. 흙 한 삽, 모래 한 삽, 석탄 한 삽, 시멘트 한 삽이  모여야 밥이

되고 집이 되고 길이 되고 마을이 되고 무덤이 된다.

삽질의 정수( 精髓)란 그 우직함과 그 정직함에 있다. 그 정직함을 배반할 때 삽은 무기가 되기도 한다. 

농민이든 노동자든, 노동의 본질이 삽질에 있는 것이다.

공자는 냇물을 보며 "흘러가는 것들이 저와 같구나! 밤낮으로 쉬지 않고 흐르는구나!

흐르는 것이 물뿐이 아니듯, 저무는 것이 어디 하루뿐이겠는가. 인생도, 세월도 다 그렇게 흐르고 저문다. 흐르다 고이면

썩기도 하고 그 썩은 곳은 말간 달이 뜨기도 한다. 두 번에 걸쳐 반복되고 있는 '우리가 저와 같아서'는 그러한 자연의

섭리를 불운한 삶 그 안쪽으로 순하게 끌어안는 모습이다. '저와 같아서'라는 말에는 수다나 울분이 없다.

하루가 저물듯, 고단한 노동이 저물어 연장을 씻듯, 노동의 비애와 슬픔도 함께 씻었으리라.

흐르는 것들은, 저물 수 있는 것들은 그러한 정화와 치유의 힘을 간직하고 있다. 해서 이 시를 읽고 나면 어느덧 

'우리도 저와 같은 '마음이 되고 싶은 것이다. 흘러가는 것들이 저와 같으니!               -  정끝별  시인  - 

 

 

 

 

 

추억의 노래-스와니강 (Old Folks At Home)

 

 

 

 

'현대시 100년 - 시인100명이 추천한 애송詩'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묵화 (墨畵)  (0) 2021.05.04
절벽  (0) 2021.05.03
모란이 피기까지는  (0) 2021.04.30
서시  (0) 2021.04.26
껍데기는 가라  (0) 2021.04.23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4/1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