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해바라기의 비명 (碑銘)

 

[함형수]

 

나의 무덤 앞에는 그 차거운 비(碑)ㅅ돌을  세우지 말라.

 

나의 무덤 주위에는 그 노오란 해바라기를 심어 달라

 

그리고 해바라기의 긴 줄거리 사이로 끝없는 보리밭을 보여 달라.

 

노오란 해바라기는 늘 태양같이 하던 화려한 나의 사랑이라고 생각하라

 

푸른 보리밭 사이로 하늘을 쏘는 노고지리가 있거든 아직도 날아오르는 나의 꿈이라고 생각하라.

 

 

 

일러스트 - 잠산

 

 

 

* 함형수 (1914년~ 1946년) 시인

 

 

함형수 시인은 생전에 불과 17편의 시편을 남긴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가난해서 노동자 숙박소 등을 전전했지만

하모니카와 시 노트만은 꼭 갖고 다녔다. 한 여배우와 동거했지만 사랑에 실패하고 해방 이듬해인 1946년 정신착란증에 시달리다 북에서 숨졌다. 그는 평생 한 권의 시집도 펴내지 못했지만 , <해바라기의 비명 > 만큼은 많은 사랑을 받았다. 

<<시인부락>>은 서정주. 김달진. 김동리. 오장환. 김광균. 함형수 등이 참여한 시 동인지였다. 

(<<시인부락>> 동인들은 '생명파'로 불렸다.) 함형수 시인은 이 시를 1936년 <<시인부락>> 창간호에 발표했다. 

우선 이 시를 읽으면 후기 인상파 화가인 빈센트 반 고흐의 <<까마귀가 나는 밀밭>>이나 <<해바라기>> 같은 그림이

떠오른다. '압생트'라는 싸구려 술을 많이 마셔서 물체가 노랗게 보이는 황시증에 시달렸다는 빈센트 반 고흐 (고흐는 술을 마시는 이유를 "노란 높은 음에 도달하기 위해서"라고 말했다.)

정신착란증으로 권총 자살한 빈센트 반 고흐의 죽음도 함형수 시인이 '청년화가 L 을 위하여 '라는 부제가 붙은 이 시를 창작하면서 빈센트 반 고흐의 열정적인 삶과 죽음을 염두에 두었는지는 헤아릴 수 없지만, 적어도 둘 사이에 적잖은 

영향관계가 있다고 분석하는 의견은 많다.

시인은 자신의 무덤 앞에는 묘비를 세우지 말라고 말한다. 

'차거운' 주검 앞에 세운 '차거운 비석은 죽음을 완성하고 , 죽음을 죽음으로 붙박는것. 

마치 널이 죽은 사람의 몸을 사방으로 서늘하게 가두듯이, 대신 노랗게 출렁이는 태양처럼 열정적으로 타오르는

해바라기를 심어 달라고 말한다.  다함이 없는 , 대해(大海)와 같은 보리밭의 생명력과 공중으로 높이 날아오르는 노고지리 (종다리)의 꿈과 자유를 달라고 말한다. 

노란 빛깔과 푸른 빛깔의 색채대비가 인상적인 이 시는 식민지시대의 고한(苦恨)을 넘어서면서, 몸과 사랑과 꿈의 죽음을 완강하게 거부하겠다는 시인의 의지가 시종 넘쳐난다. 

"눈앞에 보이는 삶의 미미(微微)한 즐거은 선화륜은 (旋火輪)과 같다.  선화륜은 횃불 같은 것을 손에 들고 빙빙 돌릴때 생기는 불의 둥근 원(圓)을 말한다. 

그만큼 삶의 즐거움은 허망하게도 머무르지 않고 흩어진다는 뜻이다.  그러나 우리가 삶을 지속시키는 이유는 무엇인가.

수미산 (須彌山)같고 큰 바다 같은 꿈이 있기 때문이다. 

우리들의 마음에 해바라기가 자라고 보리밭이 출렁이고 종다리가 날아오르게 하자. 

보리밭의 너비와 종다리의 높이를 사랑하자. 함형수 시인의 이 시가 우리에게 주는 불멸의 선물은 바로 그것일 것이다. 

- 문태준  . 시인 -

 

 

 

'현대시 100년 - 시인100명이 추천한 애송詩'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설주의보  (0) 2021.12.27
성탄제  (0) 2021.12.24
나그네  (0) 2021.12.21
추일서정 (秋日抒情)  (0) 2021.12.20
철길  (0) 2021.12.18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4/1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