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산정묘지 ( 山頂墓地 )
[조정권]
겨울 산을 오르면서 나는 본다.
가장 높은 것들은 추운 곳에서
얼음처럼 빛나고
얼어붙은 폭포의 단호한 침묵.
가장 높은 정신은
추운 곳에서 살아 움직이며
허옇게 얼어터진 계곡과 계곳 사이
바위와 바위의 결빙을 노래한다.
간밤의 눈이 다 녹아버린 이른 아침,
산정(山頂)은
얼음을 그대로 뒤집어 쓴 채
빛을 받들고 있다.
만일 내 영혼이 천상(天上)의 누각을 꿈꾸어 왔다면
나는 신이 거주하는 저 천상 (天上)의 일각 (一角)을 그리워하리.
가장 높은 정신은 가장 추운 곳을 향하는 법.
저 아래 흐르는 것은 이제부터 결빙하는 것이 아니라
차라리 침묵하는 것.
움직이는 것들도 이제부터는 멈추는 것이 아니라
침묵의 노래가 되어 침묵의 공렬(同列)에 서는 것.
그러나 한번 잠든 정신은
누군가 지팡이로 후려치지 않는 한
깊은 휴식에서 헤어나지 못하리.
(중략)
어둠은 존재의 처소 (處所)에 뿌려진 생목 (生木)의 향기
나의 영혼은 그 향기 속에 얼마나 적셔두길 갈망해 왔던가.
내 영혼이 내 자신의 축복을 주는 휘황한 백야 (白夜)를
내 얼마나 꿈꾸어 왔는가.
육신이란 바람에 굴러가는 헌 누더기에 지나지 않는다.
영혼이 그 위를 지그시 내려누르지 않는다면.
* 조정권 (1949년 ~2017년 ) 시인
시집 '산정묘지'를 펼쳐 자서 (自序)를 대신하고 있는 시 '독락당'을 읽는다.
"독락당 (獨樂堂) 대월루 (對月樓)는/벼랑꼭대기에 있지만/ 옛부터 그리로 오르는 길이 없다. /
누굴까, 저 까마득한 벼랑 끝에 은거하며/ 내려오는 길을 부셔버린 이." 아주 짧지만 고절이 있다. 찬서릿발 속에 핀 국화 같고, 차돌처럼 향기를 돌돌 말았다.
피는 매화같다. 시집에 수록된 서른 편의 산정묘지 연작시들을 꿰는 시가 바로 '독락당'이라는 시이다.
산정묘지 연작시들은 협소한 한국시의 정신적인 영역을 광대하게 확장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프랑스의 좌파 일간지 리베라시옹은 불어로 번역된 산전묘지 시편들의 성과를 대서특필하기도 했다.
시인의 고백에 따르면, 시인이 동양적인 정신주의의 극점을 보여주는 이 시편들을 쓰게 된 것은 한학자이면서 불교학자였던 김달진 시인과의 만남이 그 계기가 되었다고 한다.
그후로 시인은 세속적인 욕망을 덜어내고 영혼의 품위와 위엄을 지향하는 '고사(高士)의 시'를 선보인다.
'산정묘지 1'은 설산의 꼭대기에 정신의 처소를 마련해 두겠다는 의지를 보여준다.
"눈이 다 녹아버린"질척질척하고 비루한 세계가 아니라 얼음이 꽝꽝 언 침묵의 세계에 살겠다는 결의를 드러낸다.
'정신적인 공해'의 공간을 떠나 무서운 고요가 사는 산정에 오르겠다는 , 우리가 인간으로서 지켜내야 할 정신적인 기품을 잃지 않겠다는 속뜻을 내보인다.
조정권 시인은 언어감각이 예민할 뿐만 아니라 고건축과 고전음악에 대해서도 일가견이 있다.
평소에 그를 만나면 그는 "자기를 잘 견뎌내는 일 하나만 잘해도 아주 잘하는 것"이라고 말한다.
모두가 성자가 될 수는 없지만 , 세속적인 욕망을 버리고, 시끄럽고 험악한 곳을 버리고 고독하게 물러나 앉아 스스로의 마음을 보살피는 일에 대해 생각해 보자. "바람에 굴러가는 헌 누더기"인 몸을 끌고 저 산정에 오르는 성스러운 즐거움에 대해 생각해 보자. - 문태준 . 시인 -
'현대시 100년 - 시인100명이 추천한 애송詩'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 잎의 여자 (0) | 2022.01.07 |
---|---|
우리 오빠와 화로 (0) | 2022.01.05 |
황동규 '즐거운 편지 (0) | 2022.01.03 |
서정주 '天冬(동천)' (0) | 2021.12.31 |
사평역 (沙平驛 )에서 (0) | 2021.12.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