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한 잎의 여자
[오규원]
나는 한 여자를 사랑했네.
물푸레나무 한 잎같이 쬐그만 여자,
그 한 잎의 여자를 사랑했네.
물푸레나무 그 한 잎의 솜털,
그 한 잎의 맑음,
그 한잎의 영혼,
그 한 잎의 눈,
그리고 바람이 불면 보일 듯 보일 듯한 그 한 잎의 순결과 자유를 사랑했네.
정말로 나는 한 여자를 사랑했네.
여자만을 가진 여자,
여자 아닌것은 아무것도 안 가진 여자,
여자 아니면 아무것도 아닌 여자,
눈물 같은 여자. 슬픔 같은 여자, 병신 (病身)같은 여자,
시집(詩集)같은 여자,
그러나 영원히 가질 수 없는 여자,
그래서 불행한 여자.
그러나 영원히 나 혼자 가지는 여자,
물푸레나무 그림자 같은 슬픈 여자.
* 오규원 (1941년~2007년) 시인
오규원 시인은 , 보통 사람이 호흡하는 산소의 20%밖에 호흡하지 못하는 '만성폐쇄성 폐질환'을 앓다 타계했다.
임종 직전 "한적한 오후다/ 불타는 오후다/ 더 잃을 것이 없는 오후다/ 나는 나무 속에서 자본다" 라는 마지막 문장을
손가락으로 제자 손바닥에 써서 남겼다.
나는 이 시를 대학교 1학년 때의 여름, 한 남학생이 보낸 대학학보의 주소 띠지 속에서 처음 읽었다.
얼마나 많은 남자들이 얼마나 많은 여자에게 이시를 옮겨 나르곤 했던가.
이 시는 시집 '왕자가 아닌 한 아이에게' (1978)에 실린 작품이다. 그러나 시집 '사랑의 감옥'(1991)에 3편의 연작시 중
1편으로 다시 실렸다. '언어는 추억에 걸려 있는 18세기형 모자' 라는 부제가 첨가되었고, 2연의 끝' 영원히 가질 수 없는 여자' 와 3연의 '영원히 나 혼자 가지는 여자'가 바뀌었다.
부제를 첨가하여 '여자'는 '언어'에 대한 은유이기도 하다는 것을, '영원히 가질 수 없는 여자'를 뒤로 배치하여 여자나
언어 모두 소유할 수 없는 존재임을 강조했다.나무껍질을 벗겨 물에 담그면 물빛이 푸르스름해진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
물푸레, 이 시 덕분에 물푸레나무와 그 잎이 보고 싶었던 때가 있었다.
커다란 나무에 비해 여릿하고 포릇하고 정말 '쬐그만' 둥근 잎이었다.
천생 '여자'를 닮은, 이를테면 눈물 하면 떠오르는 글썽임이라든가, 슬픔 하면 떠오르는 비릿함이라든가, 병신 하면 떠오르는 어리숙함이라든가, 시집 하면 떠오르는 아련함이라든가. . . . .
그런 '여자'를 반복해 나열하면 할수록, 묘사하면 할수록 '여자'의 실체는 사라지고 '여자'는 신비의 옷을 입는다.
세상의 절반이 여자다. 물푸레나무에 달린 '쬐그만' 잎처럼 하고많은 여자와 '여자'라는 보통명사를 이토록 입에 척척
달라붙도록, 혀에 휘휘 휘감기도록 구체화시켜 놓고 있다니!
여자는 남자의 '여자'다.
남자의 엄마이고 누이이고 애인이고 아내이고 딸이다.
남자의 과거이고 미래이다. 남자의 부재이자 심연이고, 선물이자 폭력이다.
그러니 시작이고 끝이다. 그런 여자를 어찌 정의할 수 있으랴. 모두 가지지만 결코 가질 수 없는 그런 한 '여자'를 누가
가졌단 하는가. - 정끝별 .시인 -
'현대시 100년 - 시인100명이 추천한 애송詩'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동의 새벽 (0) | 2022.01.10 |
---|---|
조국( 祖國) (0) | 2022.01.08 |
우리 오빠와 화로 (0) | 2022.01.05 |
산정묘지 ( 山頂墓地 ) (0) | 2022.01.04 |
황동규 '즐거운 편지 (0) | 2022.0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