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현대시 - 애송 시

나무와 연못

로잔나 2022. 5. 6. 07:13

 

 

 

나무와 연못

 

[유경환]

 

봄이 왔다

 

새들이 가지에 앉아 노래했다

 

 

나무가 말했다

 

고맙다

 

그러자 연못이 입을 열었다

 

나도 잘 들었어

 

 

물이나 한 모금씩 마시고 가렴

 

새들이 포롱포롱 물 마시고 갔다.

 

 

 

 

일러스트 -양혜원

 

 

 

새가 나무와 연못에 보내는  ' 작별 인사 '

 

 

* 유경환( 1936년 ~2007년) 아동문학가. 시인

 

유경환은 황해도 장연에서 태어났다. 경복고등학교를 다닐 무렵부터 시를 쓰고, '학원문학상'을 받기도 했다.

1957년 조선일보 신춘문예에 동시가 입선하고, 같은해 <<현대문학>>에 시가 추천되며 문단에 나왔다. 

연세대학교를 마친 뒤 월간 <<사상계>> 편집부에 들어가며 언론계와 인연을 맺었다. 

그뒤로 조선일보 문화부장과 논설위원, 문화일보 논설주간 등을 두루 거치며 언론계에사 활동했다.

<나무와 연못>은 일견 평이해 보이지만, 삶의 진리를 품고 있다. 

나무는 새에게 왜 내 가지에 함부로 앉는가, 라고 따지지 않고 , 연못은 새에게 왜 내물을 함부로 마시는가, 라고

나무라지 않는다. 나무와 연못에 새는 타자 (他者)다.

나무와 연못은 새를 받아들였을 뿐만 아니라 " 고맙다" 거나 " 나도 잘 들었어" 라고 새의 노래에 화답한다.

나무는 새에게 쉴자리를 내주고, 연못은 새에게 마실 물을 주고, 새는 사계절 나무와 새에게 노래를 불러 보답을 한다. 

산다는 것은 서로를 고마워하고 받아들임, 즉 타자들과 끊임없이 연루됨이다. 

우리가 겪는 길흉화복이 대개는 타자에게서 말미암고, 세계 안에서의 운명도 그 타자들과의 연루됨에서 비롯한다.

"물이나 한 모금씩 마시고 가렴" 이라는 구절은, 타자의 생산과 수고에 기대어 제 생물학적 필요를 충족함을 보여주며,

다음 구절의, 물 마시고 나는 새의 "포롱포롱" 하는 날갯짓은 존재의 기운생동 (氣運生動)함을 암시한다.

시인은 '새'의 운명을 살다 갔다. 이 유작 (遺作)을 새의 입장에서 읽자면, 타자의 배려와 사랑에서 실존의 자리를 마련하고 살다가 날아간 '새' 가 제 필요를 넘치게 채워준 모든 타자들에 대한 고마움을 담은 작별인사다.

<나무와 연못>은 시인이 살아있을 때 림프샘암 치료를 받으며 병상에서 썼던 연작시 10편 중의 한 편이다.

유족의 증언에 따르자면 시력을 잃고 병상에 누워서도 시인은 글쓰기를 그치지 않았다고 한다.

'종이 가져와라, 펜 준비해라, ' 하며 시 쓰기를 마지막 열정을 사르다 생을 마쳤다. 

그의 유고 시집인 <<나무와 연못>>이 출간되었다. 

- 장석주. 시인 -

 

 

'현대시 - 애송 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머니 ! 당신이 그리운 날에는  (0) 2022.05.09
과수원길  (0) 2022.05.07
병아리  (0) 2022.05.04
옹달샘  (0) 2022.05.03
씨 하나 묻고  (0) 2022.05.02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4/1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